저소득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희망저축계좌 1·2는 근로 활동을 하고 있는 생계·의료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되는 사업이다.
본 글에서는 희망저축계좌 1과 2의 차이점, 신청 방법, 대상, 지원금 지급 조건 등에 대해 상세히 알아본다.
희망저축계좌란?
희망저축계좌는 정부가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저소득층 가구에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근로소득 장려금을 지원하는 제도다.
가입자가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추가 지원금을 적립해 3년 후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자산 형성 지원 사업이다.
희망저축계좌 1·2 차이점

구분 | 희망저축계좌 1 | 희망저축계좌 2 |
---|---|---|
지원 대상 | 기준 중위소득 40% 이하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근로·사업소득 조건 | 기준 중위소득 40%의 60% 이상 |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가구 |
정부지원금 | 본인 저축액 10만 원 + 정부 지원 30만 원 | 본인 저축액 10만 원 + 정부 지원 10만 원 |
추가 지원금 | 탈수급 장려금, 내일키움장려금, 내일키움수익금 가능 | 내일키움장려금, 내일키움수익금 가능 |
가입 가능 기간 | 최대 3년 | 최대 3년 |
희망저축계좌 신청하기
① 신청 기간
2025년 희망저축계좌 신청 일정은 연중 상·하반기 두 차례 진행될 예정이다.
정확한 일정은 각 지자체 및 보건복지부 공지 확인 필요
②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 복지로 접속
- 본인 인증 후 신청
- 필수 서류 제출
오프라인 신청
-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접수
- 신분증 및 필요 서류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