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서 퇴사한 후에는 퇴직 처리가 정확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4대 보험 상실 신고, 국민연금 가입 이력, 고용보험 이력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사처리 확인 방법 및 조회 절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퇴사처리 확인 및 조회하기
① 고용보험 상실 신고 확인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상실 신고는 회사에서 퇴사 후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 고용보험 상실 신고 조회 방법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개인 로그인 (공동인증서, 간편 인증)
“개인 서비스” →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클릭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확인
“상실 신고 완료” 상태면 정상적으로 퇴사 처리됨
📌 고용보험 상실 신고가 완료되면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하며, 상실 신고가 누락되었다면 회사에 요청해야 합니다.
② 국민연금 가입 이력 조회 (국민연금공단)
퇴사 후 국민연금 사업장 가입 이력이 종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상실 신고 조회 방법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내 연금 알아보기” → “가입내역 조회” 클릭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최근 가입 이력 확인
마지막 근무했던 회사의 국민연금 가입 종료 여부 확인
📌 국민연금 신고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여, 만약 누락되었다면 회사에 문의해야 합니다.
③ 건강보험 자격 상실 조회 (국민건강보험공단)
퇴사 후 회사에서 건강보험 자격을 상실 신고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 자격 상실 신고 조회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자격확인서 발급” 메뉴 클릭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자격득실확인서” 출력
마지막 직장에서 자격이 상실되었는지 확인
📌 퇴사 후 건강보험이 자동으로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므로, 필요 시 건강보험료 조정 신청도 가능함
④ 4대 보험 가입 이력 확인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퇴사 후 4대 보험 가입 및 상실 여부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4대 보험 가입 이력 확인 방법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접속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가입내역 조회” 클릭
마지막 근무지의 4대 보험 가입 및 상실 여부 확인
📌 모든 4대 보험 처리 내역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⑤ 근로소득 지급 명세서 확인 (홈택스 국세청)
퇴사 후 회사에서 근로소득 지급 명세서를 국세청에 정상적으로 신고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근로소득 지급 명세서 조회 방법
국세청 홈택스 접속
로그인 후 “My 홈택스” 클릭
“연말정산/지급명세서 조회” 메뉴 선택
퇴사한 회사에서 신고한 근로소득 지급 명세서 확인
📌 근로소득 지급 명세서에 퇴직 전 급여 내역이 제대로 신고되었는지 확인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