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이라면 연차휴가와 관련된 사항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사용하지 못한 연차에 대해 지급되는 연차수당은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이며, 제대로 계산하고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연차수당을 계산할 때 연차수당 계산기를 활용하면 간편하게 지급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차수당 계산기의 사용 방법, 연차수당 계산법, 연차수당 지급 기준 및 유의사항 등을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연차수당 계산법
연차수당 계산법은 간단하지만, 월급제, 시급제, 연봉제에 따라 계산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연차수당 공식
연차수당 = 1일 평균임금 × 미사용 연차일수
1일 평균임금 계산법
월급제 근로자:
월급 ÷ 209시간 × 8시간 = 1일 연차수당
시급제 근로자:
시급 × 8시간 = 1일 연차수당
연봉제 근로자:
연봉 ÷ 12개월 ÷ 209시간 × 8시간 = 1일 연차수당
예제) 월급 300만 원 근로자의 연차수당 계산
1일 임금: 300만 원 ÷ 209시간 × 8시간 = 약 114,830원
미사용 연차 10개 → 114,830원 × 10개 = 1,148,300원(연차수당)
연차수당 계산기
연차수당을 손쉽게 계산하려면 연차수당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연차수당 계산기 이용 방법
연차수당 계산기 사이트 접속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 4대보험 정보 사이트 등에서 무료 제공
검색 포털(네이버, 구글)에서 “연차수당 계산기” 검색
필수 정보 입력
월급 또는 연봉 입력
미사용 연차 개수 입력
근로시간 입력(기본 8시간)
계산 버튼 클릭 후 결과 확인
자동으로 연차수당이 계산되어 지급 예상 금액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