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민이라면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동백패스를 반드시 활용해야 합니다. 매달 일정 금액 이상 교통비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환급이 이루어지는 혜택이기 때문입니다.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학생, 직장인, 자영업자라면 동백패스의 환급 제도를 적극 활용해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동백패스 신청 방법, 환급 기준, 환급금 사용 방법, 결제일 및 주의사항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동백패스란?
동백패스는 부산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을 위해 제공되는 교통비 환급 지원 제도입니다. 후불형 또는 선불형 동백전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일정 금액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다음 달에 환급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환급 대상
만 19세 이상 부산 시민
동백전 교통카드(후불형 또는 선불형) 사용자가 부산 지역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
✔ 환급 혜택
한 달 동안 대중교통을 4만 5천 원 이상 이용하면 초과 사용액을 최대 4만 5천 원까지 환급
청소년(13~18세)은 2만 5천 원 이상 사용 시 초과 금액 최대 2만 5천 원 환급
✔ 적용되는 교통수단
부산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단, 2000번 버스 및 타 지역(김해, 양산, 울산 등) 버스 제외)
부산 도시철도 1~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전 구간
✔ 환급 방식
대중교통비 환급금은 동백전 정책지원금(캐시백) 형태로 지급됨
정책지원금은 동백전 가맹점에서 자유롭게 사용 가능
동백패스 신청하기
동백패스를 이용하려면 동백전 교통카드를 먼저 발급받고, 동백전 앱에서 동백패스를 등록해야 합니다.
교통카드 발급 방법
✔ 은행 방문 신청
부산은행, 농협은행, 하나은행에서 방문 신청 가능 (즉시 발급 가능)
✔ 동백전 앱에서 모바일 신청
동백전 앱 다운로드 및 실행
로그인 후 ‘카드 신청’ 메뉴 선택
후불형(체크카드) 또는 선불형 선택 후 신청
신청 완료 후 배송(3~7일 소요)
✔ 카드 선택 시 주의할 점
후불형(체크카드): 부산은행, 농협은행, 하나은행에서 발급 가능
선불형: 부산은행에서만 발급 가능 (충전 후 사용)
후불형 카드는 특정 은행 계좌를 보유해야 발급 가능
동백패스 등록 방법
카드 발급 후 동백전 앱에서 반드시 동백패스를 등록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동백패스 등록 과정
동백전 앱 실행
로그인 후 ‘동백패스’ 메뉴 선택
발급받은 동백전 교통카드 등록
정책지원금 자동 적용을 위해 ‘ON’ 설정 확인
✔ 등록 시 유의사항
실물 카드로 결제해야 실적으로 인정됨 (모바일 결제 제외)
동백전 앱에서 반드시 동백패스를 활성화해야 환급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