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공익직불제입니다. 해마다 신청이 진행되는 이 제도는 농업인의 소득 안정과 농업의 공익적 가치 실현을 위해 운영되고 있으며, 2025년에도 그 흐름은 계속될 예정입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공익직불제 의무교육 이수 여부가 지급 조건에 포함되면서, 농업교육포털을 통한 교육 신청과 수강이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익직불금이란 무엇인지, 누가 신청할 수 있고, 어디에서 어떻게 신청하는지, 그리고 의무교육은 어떤 방식으로 이수해야 하는지까지, 단계별로 친절하게 정리해드립니다.
공익직불제란 무엇인가요?
공익직불제는 기존 쌀 직불제, 조건불리직불제 등 다양한 직불제를 통합해 개편한 제도입니다.
단순히 농사를 짓는 데서 그치지 않고, 환경을 보호하고, 농촌 공동체를 유지하며, 국민의 먹거리 안정을 도모하는 공익적 활동을 수행하는 농업인에게 직불금을 지급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도입 배경: 농업의 다원적 기능 강화
목표: 농업인의 소득 보장, 친환경 농업 유도,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
공익직불금 신청하기
공익직불금을 수령하려면 반드시 의무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온라인 수강 방법
- 농업교육포털 접속
- 회원가입 후 로그인
- ‘공익직불제 교육 과정’ 선택
- 온라인 강의 수강 후 간단한 평가 진행
- 수료증 출력 후 직불금 신청 시 제출
오프라인 교육 (집합교육)
- 농업기술센터 또는 행정복지센터에서 현장 교육 가능
- 거주 지역 교육 일정은 농업교육포털 공지사항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
💡 교육 미이수 시 직불금 지급 제한이 될 수 있으니 반드시 기한 내 수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