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증명서 인터넷 발급하기 (출생증명서)

관공서나 각종 행정 업무를 보다 보면 간혹 ‘기본증명서’를 제출해달라는 요청을 받게 됩니다. 특히 민간 자격증 신청, 학교 입학, 보험, 출생신고, 해외 비자 신청 등 다양한 상황에서 요구되곤 하는데요.

오늘은 기본증명서와 출생증명서의 차이, 그리고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발급받는 방법과 재발급 절차까지 차근차근 설명드리겠습니다.

기본증명서란?

기본증명서는 ‘가족관계등록부’에 속하는 서류로, 본인의 출생과 국적, 개명, 사망 등 개인 신분상 변동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문서입니다.

용도에 따라 총 세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요

구분주요 내용사용 예시
일반형출생, 사망, 국적 상실 등 기본 정보만 포함일반 행정업무
상세형일반 내용 + 인지, 친권, 개명, 성별 등 포함해외 비자, 법원 제출
특정형필요한 항목만 선택하여 발급출생 또는 국적 관련 증명

기관에서 요구하는 종류를 정확히 확인한 후 선택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기본증명서 인터넷 발급하기

이제 본격적으로 온라인 발급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사이트 접속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포털에서 ‘대법원 가족관계등록’ 또는 ‘기본증명서 발급’으로 검색해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2. ‘기본증명서’ 선택

상단 메뉴 또는 메인 화면에서 ‘기본증명서’ 항목을 클릭합니다.

이 외에도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입양관계증명서 등 다양한 문서를 발급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3. 본인 인증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 기본 정보를 입력한 뒤 인증 절차를 거칩니다.

사용 가능한 인증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

간편 인증 (네이버, 카카오, PASS 등)

최근에는 간편 인증이 보편화되어 빠르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4. 발급 정보 선택

다음 화면에서는 아래 항목들을 차례대로 선택하게 됩니다:

발급 대상자: 본인이면 ‘본인’, 자녀나 가족일 경우 ‘가족’

증명서 종류: 일반 / 상세 / 특정 중 선택

주민등록번호 공개 여부: 기관 요구사항 확인 후 선택

수령 방법:

직접 인쇄: PDF 저장 또는 즉시 프린트

전자문서지갑: 정부24 연동 보관

화면 열람: 본인 확인용, 제출은 불가

신청 사유: ‘국내기관 제출’ 또는 ‘기타’ 선택

모든 항목을 입력 후 ‘신청하기’를 누르면, 화면에 출력되며 PDF로 저장하거나 인쇄 가능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