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을 그만두게 되는 상황은 누구에게나 예상치 못한 시점에 찾아올 수 있습니다.
특히 비자발적인 실직이라면 더더욱 준비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움이 되는 제도가 바로 고용보험 실업급여입니다.
오늘은 실업급여의 신청 방법부터 조건, 수급 가능 기간과 금액 계산 방법까지 2025년 기준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실업급여란?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퇴사했을 때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단순한 생활비 지원이 아니라 재취업을 유도하고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실업급여 신청 조건
- 실업급여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최근 18개월 내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일 것
- (초단시간 근로자, 특수형태 근로자 등은 조건 상이)
- 근로의 의사와 능력은 있으나 취업하지 못한 상태일 것
- 재취업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 중일 것
- 자발적 퇴사가 아닌, 비자발적 실직일 것
- 예: 권고사직, 해고, 계약만료 등
실업급여 신청하기
1. 퇴직 후 고용센터에 피보험자격 상실신고서 제출 요청
- 회사에서 근로복지공단에 제출
- 피보험자격 확인이 선행되어야 실업급여 신청 가능
2. 온라인 구직등록 (워크넷 또는 고용24)
3. 실업급여 사전 교육 수강
- 고용노동부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 수강
- 수급자격 신청 전 필수 이수
4. 수급자격 인정 신청 (고용센터 방문 필수)
- 신분증, 이직확인서 등 구비
- 수급자격 신청 후 심사를 통해 승인 여부 결정
5. 실업인정 및 급여 수령
- 보통 1~4주 간격으로 실업인정일에 구직활동 내역 제출
- 첫 인정 후 평균 1~2일 내로 급여 입금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법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또는 HRD-Net,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실업급여 계산기를 통해 예상 수급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용 방법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 고용보험 실업급여 계산기 바로가기
근로기간, 최근 3개월 급여, 퇴직일 등 입력
예상 일급 및 전체 수급 금액 확인